Samba Server
- 네트워크를 통해 파티션을 공유하도록 제공하는 서비스
- 유닉스 시스템과 windows 시스템 간 파일 시스템 공유
- 유닉스 계열의 거의 모든 시스템에서 제공
- 시스템의 리소스를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이므로 보안에 주의한다
응용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리소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Samba 서버 확인 및 설치
#yum list samba
#yum install -y samba
데몬
/usr/sbin/smbd
공유 기능을 담당하는 데몬 (139번 포트를 이용)
포트는 바꿀 수 있지만 ISP에서 감당하기 힘들어서 권장하지 않는다
/usr/lib/systemd/smb.service
-데몬 실행 스크립트
/etc/samba/smb.conf
-samba 설정 파일
데몬 실행
#systemctl start smb.service
실습🧪
개요
1. samba 설치
2. 계정 생성
3. 실습 테스트
4. 리눅스, 윈도우 계정 명과 비밀번호가 같을때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
1. samba 설치
#yum list samba로 설치가 이미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yum -y install samba로 삼바를 설치한다
2. 계정 생성
설치가 완료됐으면 계정을 생성해보자
smbpasswd -a tom 으로 tom 이라는 계정을 생성해봤다
pdbedit -w -L 명령어로 계정을 확인해보았다
설치가 완료됐고 계정도 만들었으니 서비스를 띄워보자
systemctl start smb.service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올라갔다
3. 실습 테스트
이제 윈도우로 가서 아무 디렉터리 연 다음
내 smb 서버의 IP를 입력해준다
\\192.168.10.184
성공적으로 접속되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랜다
그래서 아까 만든 tom 계정으로 로그인해줬다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성공적으로 연결 완료
근데 저 디렉터리는 내가 만든 적이 없는데???
어디 있는 건지 Linux에서 찾아보자
이녀석인가?? 원래 리눅스에 존재했던 계정인데 smb 계정 등록할 때 똑같이 tom으로 등록해서 헷갈린다
다른 이름으로 계정을 다시 만들어보자
Failed to add entry for user tommy. 라는 에러 메시지가 떴다
애초에 리눅스에 계정이 없다면 smb에서도 계정을 생성할 수 없다는 결론이다
그 말인즉슨 저 tom 디렉터리는 이전에 존재하던 계정이라 smb 계정이 생성된 것이였다,,,
4. 리눅스, 윈도우 계정 명과 비밀번호가 같을때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
이번에는 리눅스랑 윈도우에 똑같은 이름의 계정과 비밀번호가 설정돼있다면 로그인 질의를 안한다던데 한번 테스트해보자
실험을 위해 리눅스에 있는 전에 만들어놨던 web 계정을 사용해보겠다.
그리고 이번에는 윈도우에 web이라는 새 계정을 만들고 계정 web으로 로그인해서 smb server에 접속해보자
이 상태에서 Enter를 누르니까
엥 아이디 비번 질의 없이 바로 자동 로그인 됐다 신기방기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는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윈도우와 리눅스의 계정 명과 비밀번호를 대조하고 계정명이 같으면 자동으로 로그인 되는 방식인거같다
'모의해킹 수업 note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11 암호학 암호의 개념과 고전 암호 (0) | 2020.05.11 |
---|---|
05.08 Samba Server pub 설정 (0) | 2020.05.08 |
05.07 WEB SERVER 가상 호스트👻 (0) | 2020.05.07 |
05.26 Apache Server (0) | 2020.05.06 |
04.28 Deployment service (0) | 2020.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