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의해킹 수업 note 정리

05.20 암호학 해쉬함수

1. 해쉬 함수의 이해

2. 해쉬 함수의 이용

3. 단순 해쉬 함수

4. 해쉬 함수의 종류

5. SHA와 MD5의 차이

 

1. 해쉬 함수의 이해

  • 메시지 인증 코드에 대한 변형
  • 메시지의 모든 비트들에 대한 함수

정의

-임의의 길이 (M)를 취해서 정해진 크기 (h)의 Message Digest를 만드는 one-way function(H)

디지털 서명, 인증 등의 서비스 제공

 

M = 메시지 ( 암호학에서의 평문)

 

해쉬 함수의 요구 조건

  • 어떤 크기의 메시지 M에도 적용 가능
  • H는 고정된 크기의 hash code를 만듬
  • H(M)은 어떤 주어진 M에 대해서도 계산하는것이 쉽다.
  • 주어진 hash code h에 대해, H(M) = h인 M을 찾는 것이 계산적으로 실행 불가능(one-way)
  • 어떤 주어진 블록 M에 대해서, H(M') = H(M)인 M과 M'가 서로 다른 것을 찾는것이 계산적으로 실행 불가능
  • H(M’) = H(M)인 어떤 (M, M’) 쌍을 찾는 것이 계산적으로 실행 불가능(collision-free)

 

원문에 있는 모든 비트가 연산에 참여해야함

 

공개 키와 개인 키 합치기?

 

 

'모의해킹 수업 note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g4win  (0) 2020.05.21
05.20 암호학 전자 서명  (0) 2020.05.21
05.18 암호학 키 관리  (0) 2020.05.18
05.14 암호학_공개키 암호  (0) 2020.05.14
05.12 암호학_비밀키와 DES  (0) 2020.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