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의해킹 수업 note 정리

04.09 note📚

vmware 항상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기
 

selinux disabled
(Linux Basic_00 CentOS7_install 참조)
 
커널이 모지?
왜 잇어야하는가
커널은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그 이유 때문에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구별하거나 순서에는 의미가 있지만 값 자체에는 의미가 없는것 [시퀀스 남바]
 
Network Interface Card
 
  • 유닉스 시스템들은 각 시스템마다 NIC를 지칭하는 디바이스 파일명이 고유하다
  • 리눅스의 경우 ens32, ens34(eth0,eth1)... 등의 이름으로 명명한다. 장치의 설정은 커널 부트업시 자동으로 수행되며 지원되지 않는 NIC는 직접 컴파일 후 디바이스를 적재해야한다.
 
랜카드가 여러개 잇으면 각 랜카드마다 아이피를 세팅해서 쓰는거란다 (1랜카드 1 IP)
 
lo 가짜 랜카드 (로컬 루프백 인터페이스) 127.0.0.1

 
lo는 1계층 2계층이 있는것마냥 컴퓨터를 속여서 TCP/IP를 설치하기 위해 존재한다
 

network 설정파일 수동으로 만져보기

IP를 바꿔보자~
  • 네트워크 설정 파일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NIC명에 들어있고
나의 NIC이름은 ens32다
 
원래는 netmanager를 이용해 GUI로 편하게 바꿀 수 있지만 수동으로 하는 법도 알아야한다고 해서 실습을 진행해본다
 

 

 

NAT Settings 누르고

 
그리고 윈도우 네트워크 우클릭 속성 누르고

 
 

 

 

라우터란 네트워크 주소가 다른 2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연결할때 쓰인다

Linux 사용자 관리

 
사용자 계정 정보는 /etc/passwd에 전부 다 들어있다
#cat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계정:암호:UID:GID:주석:홈디렉터리:쉘
7개의 튜플로 구성되어있다(인스턴스라고도함)
 
안전한 패스워드 설정 p23 시험에 나온단다
 
 

'모의해킹 수업 note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16 Linux service & daemon💿  (0) 2020.04.16
04.14 note📚 NAT route환경만들기🛰  (0) 2020.04.14
04.08 note📚  (0) 2020.04.13
04.13 note📚  (0) 2020.04.13
04.10 😀파일 구조와 permission  (0) 2020.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