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ice 등록 및 관리
service & daemon
서비스와 데몬은 같은거다
내가 직접 쓰는 프로그램이 아니라면 서비스라고 생각하면 편함
이 둘은 사용자의 요청 시점이 아니라 임의의 시점 (보통 시스템 boot)에서 background process로 시작되어
사용자나 프로세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함
방식
Stand Alone
- 스스로 listen하며 항상 메모리에 상주한다
- 서비스 요청에 즉시 대응 가능하다
- 서비스 요청이 매우 드물거나 idle한 경우 메모리를 낭비한다
listen이란?
항상 소켓을 열고 메모리에 올라가서 서비스 접속 요청이 있는지 없는지 대기하는 상태
Super Daemon
- Listen을 직접하지 않는다
- 메모리에 상주하지 않으며 서비스 요청이 있을때 xinetd에 의해 호출된다
- 점차 사라지는 추세다
서비스 조회
#systemctl list-unit-files
- 모든 서비스의 상태 확인
#systemctl [is-enable | is-active] [서비스명]
- is-enabled : 자동 실행 등록 여부
- is-active : 현재 실행 여부
서비스 등록
#systemctl [enable | disable] [서비스명]
- [enable | disable] : 등록 및 등록 해제
서비스 실행
#systemctl [start | restart | stop] [서비스명]
-[start | restart | stop] : 실행, 재실행, 종료
systemctl 추가 옵션
#systemctl [옵션] [서비스명]
-try-restart : 실행, 재실행, 종료
-Reload : 설정 재구동
-status : 상태 확인
내가 정말 제대로 알고있는지 확인하는 법
누군가에게 내가 배운걸 설명해보면 정확히 뭘 모르고 아는건지 알수있다
'모의해킹 수업 note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17 DNS Server📱 (0) | 2020.04.17 |
---|---|
04.16 Linux FTP Server🗼 (0) | 2020.04.16 |
04.14 note📚 NAT route환경만들기🛰 (0) | 2020.04.14 |
04.09 note📚 (0) | 2020.04.13 |
04.08 note📚 (0) | 2020.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