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란?
분산 database
- 수 많은 name server들이 계층형 구조로 구조화 되어있다
Application layer protocol
다른 app layer protocol들이 http, ftp, smtp등 사용자가 제공한 호스트네임을 ip로 변환하는데 이용한다
인터넷의 가장 중요한 기능중 하나
Network edge에 구현된다
IP와 이름간 mapping
개요
호스트명을 IP주소로 변환한다
호스트 에얼리아싱 (host aliasing)
정식 (canonical) 호스트명
별칭 (aliasing) 호스트명
DNS는 IP뿐만 아니라 정식 호스트명을 얻기 위해 이용되기도 한다
구조
DNS Server 구축해보기 실습
방화벽 설정
#iptables -A INPUT -p tcp --dport 53 -j ACCEPT
#iptables -A INPUT -p udp --dport 53 -j ACCEPT
ntsysv로 방화벽을 꺼놨다면 명령어 입력할 필요 없다!
DNS 서버 설치하기
일단 list로 bind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한다
#yum list bind
없으면 #yum install -y bind로 설치해주면 된다
/etc/named.conf 설정 파일
선생님이 주신 named.conf 파일을 cp로 덮어 씌웠다
named.conf 파일의 내용은 이러하다
DNS 서비스 올리기
#systemctl start named.service
이제 서비스 올리고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에서 DNS 서버를 내 아이피로 설정해준다
결과는 host 도메인 네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국국자래자래
다른 리눅스에서도 아주 잘 돌아간다 굿굿
/home/kst17/html/index.html
192.168.10.11/~kst17
'모의해킹 수업 note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tri전용 DNS 서버 구축 실습 (0) | 2020.04.21 |
---|---|
04.20 Authoritative DNS Server📱 (0) | 2020.04.20 |
04.16 Linux FTP Server🗼 (0) | 2020.04.16 |
04.16 Linux service & daemon💿 (0) | 2020.04.16 |
04.14 note📚 NAT route환경만들기🛰 (0) | 2020.04.14 |